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유세 현장에 동행한 배현진 의원을 향해 '미스 가락시장' 이라고 말하면서 논란이 됐다. 민주당 이재명 캠프의 또 다른 김문수 의원은 여성에 대한 '출산 가산점'을 언급했다 비판이 일자, 선거캠프 보직에서 물러났다.
민주당 중앙선대위는 지난 12일 이 후보의 10대 공약을 발표하면서 군 복무 경력 호봉 반영을 포함했다. 이를 두고 민주당이 여성 공약은 내놓지 않으면서 군 가산점제를 부활시키려 한다는 의혹이 나왔다.
문재인 정부는 공공기관에서 군 복무 기간을 호봉으로 인정하는 만큼 승진 심사에까지 해당 호봉을 반영하는 것은 이중 혜택이라며 이 같은 '군 가산점' 제도를 폐지했다. 이를 부활시키려 한 것은 윤석열이다. 윤석열 정부는 민간을 제외한 모든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 등 공공 부문에 군 복무기간을 호봉에 의무 반영하도록 하는 입법을 추진했다.
21대 대통령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후보들의 10대 공약 가운데 기후공약은 퇴행이란 평가가 불가피하다. 더불어민주당이 22대 국회의원선거 당시 공약했던 탄소세는 이번 대선 10대 공약에선 빠졌고, 2당이자 직전 여당인 국민의힘은 아예 기후공약이 없다. 유일하게 남은 진보후보인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후보 공약은 비교적 충실하지만 발전보단 답습에 가깝다.
권 후보는 정의로운 탈탄소사회 전환을 목표로 기후에너지부 신설, 대통령직속 탈탄소사회전환위원회 설치, 국회 내 기후경제위원회 구성 등을 공약했다. ‘갖출 건 갖춘’ 공약이지만 지난해 녹색정의당으로 치렀던 22대 총선 공약과 비교하면 눈에 띄게 발전한 대목은 찾아보기 어렵다. 게다가 탄소세는 소득이 낮을수록 소득 대비 에너지 지출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에게 되레 부담을 준다는 이른바 ‘역진성’ 논란에 휩싸여 있어 논쟁적이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의 기후공약은 단촐하다. 선진국으로서의 책임에 걸맞은 NDC를 수립하겠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수치는 정하지 않았다. 33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3)를 유치하겠다는 공약은 기후정책보다는 산업통상 공약에 가깝다.
두 후보를 제외하면 기후공약을 제대로 제출한 후보는 아예 없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재난에 강한 나라, 국민을 지키는 대한민국’ 공약에서 환경부를 기후환경부로 개편해 기후재난에 선제 대응한다는 계획을 제시한 정도다.
오늘의 움직임💥
법사위, 오늘 '대법원 대선개입' 청문회…대법관 전원 불참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14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조희대 대법원장 등 사법부의 대선개입 의혹 진상규명 청문회'를 연다.
조 대법원장 등 증인은 나오지 않는다. 결국 조희대 대법원장 사법 남용 의혹은 특검으로 갈 공산이 크다.
법사위에는 특검법과 함께 대법원 판결에 헌법소원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헌법재판소법 개정안, 대법관 수를 기존 14명에서 100명으로 증원하는 법원조직법 등이 상정됐다.